자격증
[네트워크관리사] OSI 7계층 - (1) Physical Layer
진저본
2022. 10. 17. 15:49
OSI 7 계층은 다음과 같다.
Physical - Datalink - Network - Transport - Session - Presentaion - Application
Physical layer = 물리 계층, 즉 물리적인 것으로 케이블을 생각하면 된다.
정보통신의 3요소 중 하나인 매개체는 유선과 무선으로 나눌 수 있다.
1) 케이블(유선): Console 케이블(네트워크 장비 연결용) ++하늘색
- Rollover 케이블: EIA/TIA 568B <-> 568B
- UTP(Unshield Twisted Pair: 쌍꼬임트임선) 케이블, 총 8가닥, 실내용
- Direct: EIA/TIA 568B ----- 568B, 이기종 장비간 연결
- Crossover: EIA/TIA 568B ----- 568A (1, 3 / 2, 6), 동일 장비간 연결
UTP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.
- CAT 5EE: 100Mbps
- CAT 6: 1000Mbps
- STP(Shield Twisted Pair): 실외용
- Fiber(광케이블): 싱글코어 -> 장거리 전송/느림, 멀티코어 -> 근거리 전송/빠름
- Coaxial(동축케이블)
- Serial: RS232포트
2) 무선: IEEE 802.11 WIFI a/b/g/n/ac/ax
듀얼밴드(2.4GHz, 5GHz), 무선통신 CSMA/CA
라디오파, 위성통신, 안테나통신
디지털/아날로그 통신, coaxial(동축)으로 동시에 전송 가능
물리 계층 장비로는 리피터, 증폭기, 허브가 있다.
증폭기: 신호 증폭
리피터: 전달거리 연장(신호를 repeat하는)
HUB: 전달되는 신호를 모든 포트로 재전송
L1(물리 계층) 장비는 IP 주소나 MAC 주소같은 것들을 모른다. (그냥 전달만 하는 바보다)